728x90
반응형
출생 : 1417년 8월 11일[1] (음력 태종 17년 6월 20일)
전라도 나주목 금안리 오룡동 (現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반송마을)
사망 : 1475년 8월 1일[A] (향년 57세) (음력 성종 6년 6월 21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신숙주는 태종 17년(1417) 6월 20일에
전라도 나주목 금안리 오룡동(현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반송마을)에서
아버지 신장과 어머니 나주 정씨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 ☜ 사이의 5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태종의 과거 동기이자 공조참의를 지낸 신포시, 할머니는 경주 김씨로 김충한의 딸이며 증조부는 신덕린, 증조모는 정신호의 딸이며 고조부는 신사경이다.
부인은 무송 윤씨인데 윤경연의 딸이자 윤회의 손녀, 윤소종의 증손녀이다.
728x90
반응형
'「歷史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아버지의 눈물, 영조 (0) | 2025.05.14 |
---|---|
한국사 리진 – 조선의 무희 파리의 연인이 되다, (0) | 2025.05.12 |
이재명 대법 판결문 전문 (1) | 2025.05.01 |
몽골 시대 고려의 생존 전략 - 이익주 교수 강의 (0) | 2025.04.22 |
고려 무신 정권 모음 (이익주 교수 강의)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