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죽음의 質’ 을고민하는 사회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誌) 산하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란 연구기관이 OECD 30개국을 포함한 세계 40개국을 대상으로 그 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품격(品格) 있는 죽음을 맞느냐는 걸 갖고 ‘죽음의 질The Quality of Death)’을 조사해 한국 순위를 하위권인 32위로 평가했다. EIU는 죽음에 대한 사회의 인식, 임종(臨終)과 관련한 법제도, 임종환자의 통증과 증상을 관리하고 환자 가족이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완화의료 (palliative care)’의 수준과 비용부담 등 27개 지표를 비교했다. 영국이 제일 좋은 평가를 받았고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벨기에가 뒤를 이었다.
한국 사회에선 살아서 죽음을 맞을 준비를 한다는 사람이 거의 없고, 어떤 이의 죽음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그의 회생 가능성을 포기 하는 부도덕한 일처럼 인식됐다. 그렇다 보니 인공호흡기 같은 기계장치를 감아 맨 채 고통 속에서 죽음과 만나게 된다. 병원들도 호스피스 시설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죽음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맞아야 하는지 교육받거나 고민해 본적이 없는 의사 ․ 간호사가 임종 환자들 곁을 지켜왔다.
국립암센터가 2008년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4.6%가 ‘완화 의료’를 원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한해 암(癌) 사망자 6만7000명 가운데 완화 치료를 받는 이는 7.5%인 5000명에 불과하다. 무의미한 생명연장 시술은 환자 본인의 고통은 말할 것도 없고 엄청난 치료비용을 남은 가족 어깨에 지우기 십상이다.
우리 사회도 ‘죽음의 질’ 문제를 떳떳하게 공개적으로 논의해 볼 때가 됐다. 죽음의 단계가 의료보건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인식부터 필요하다. ‘죽음의 질’에서 최고 평가를 받은 영국은 죽음을 앞둔 환자가 삶의 마지막 시기를 집에서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돌봐주는 ‘종말 간병 간호사(Terminal Care Nurse)’ 제도를 운영, 그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고 있다. 우리도 완화 진료 비용의 일부를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거나 은퇴한 간호사 등을 재 교육시켜 임종 전문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봐야 한다. 의과대학에서도 완화 진료를 정규과정으로 이수케 해야 하고 품격 있는 죽음을 가르치는 ‘웰 다잉(well-dying)’ 전문가도 길러야 한다. 불치병에 걸렸을 때 어떤 식의 죽음을 맞고 싶다고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생전 유언(living will)’ 작성 운동도 필요하다.
아름다운 마무리가 그 사람이 살아온 삶을 더 의미 있게 만든다. 가족과 친지들의 사랑 가득한 보살핌 속에서 평화롭게 삶을 마무리 하는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깊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할 때다.
2010년 7월 17일(토)
조선일보 사설
'「노래 老來 」 > 「시사 경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마 (0) | 2011.05.16 |
---|---|
한겨레 신문 창간사 (0) | 2011.05.15 |
615공동선언문 전문 (0) | 2010.06.15 |
金大中 후보, 1971년 장충단공원 유세 전문 (0) | 2000.02.19 |
대한민국 헌법 1호 (0) | 1999.07.17 |